대가 댓가. 말로 자주쓰는 표현인데요. 대가와 댓가는 발음으로는 구분할 수 없어 글로 적을 때 대가와 댓가 중 무엇이 올바른 맞춤법인지 헷갈립니다. 대가와 댓가의 예외 사항이 없어 대가와 댓가 중 어느 것이 올바른 맞춤법인지 배워봅시다.
대가 댓가
대가는 물건의 값으로 치르는 돈이라는 뜻입니다.
한자어와 한자어가 만나는 합성어로 이 때에는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대가'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대가(O)
댓가(X)
예문)
진열되어 있는 상품을 구매하고 대가를 지불하였습니다.(O)
진열되어 있는 상품을 구매하고 댓가를 지불하였습니다.(X)
더보기 : 헷갈리는 맞춤법
되 돼 차이 . 몰라도되 돼 아주 쉽게!
되 돼 맞춤법 차이를 아주 쉽게 예시를 들어가며 설명드립니다. 우리가 맞춤법을 사용할 때 말로만 대화를 많이 하다보니 실제 글로 적을 때 되인지 돼로 적어야 하는지 맞춤법 틀리는 사람이
great100.cheesesaladdy.com
밤새다 밤세다 맞춤법 정답
밤새다 밤세다 맞춤법 정답밤새다 밤세다는 많이 접해서 좀 익숙합니다. 그거 그냥 알지 할수도 있는데요. 그냥 말로만 자주 쓴 사람들은 막상 쓰려고 하면 참 헷갈립니다. 밤새다 밤세다 별 거
great100.cheesesaladdy.com
드러나다 vs 들어나다
드러나다 vs 들어나다 우리가 많이 쓰는 표현 중 하나입니다. 발음으로는 구분할 수 없죠. 드러나다가 맞을까요? 들어나다가 맞을까요? 드러나다와 들어나다 올바른 맞춤법을 한 번 배워봅시다.
great100.cheesesaladdy.com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줍잖은 어쭙잖은 맞춤법 정답 (0) | 2024.11.21 |
---|---|
바램 바람 맞춤법 정답 (0) | 2024.11.20 |
밀어붙이다 밀어부치다 맞춤법 정답 (2) | 2024.11.18 |
엔간히 앵간히 맞춤법 정답 (1) | 2024.11.17 |
이직률 이직율 맞춤법 정답 (1) | 2024.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