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60 들르다 vs 들리다 | 의미와 쓰임 차이 완벽 정리! "들르다"와 "들리다", 비슷하게 들리지만 완전히 다른 뜻과 쓰임을 가진 표현입니다. 장소에 잠깐 방문할 때 과연 어떤 표현이 맞는 걸까요? 예문과 함께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들르다 vs 들리다, 헷갈리면 안 되는 이유"시간 나면 들릴게요"라는 말, 과연 맞는 표현일까요?의외로 많은 분들이 '들르다'와 '들리다'를 같은 의미로 착각해 사용하는데요, 두 단어는 의미도 문법도 완전히 다릅니다.들르다: 장소에 '잠깐' 들리는 것'들르다'는 어떤 장소에 잠시 멈추어 가는 것을 뜻합니다. 예: 회사 가기 전에 카페에 들르다.들리다: 소리나 감각 등이 느껴지는 것'들리다'는 주로 소리나 감각이 느껴질 때 사용합니다. 예: 밖에서 음악 소리가 들린다.❌ 자주 틀리는 예(X) 시간 나면 들릴게요(O) 시간 나면.. 2025. 4. 2. 예요 vs 에요 | 헷갈리는 맞춤법 1분 정리! "예요"와 "에요", 둘 중 언제 어떤 걸 써야 할까요? 헷갈리는 두 표현의 정확한 구분법과 예문을 통해 맞춤법을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예요 vs 이에요, 언제 어떻게 쓰는 게 맞을까?"학생예요"와 "학생이에요", 둘 중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많은 분들이 발음에 따라 섞어 쓰지만, '예요'와 '이에요'는 구체적인 구분 기준이 있는 맞춤법입니다.✅ 기준은 앞 단어가 받침이 있느냐 없느냐간단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받침이 있는 경우 → 이에요 (O)받침이 없는 경우 → 예요 (O)❌ 자주 틀리는 예(X) 학생예요 → 학생이에요(X) 이거이에요 → 이거예요예문으로 쉽게 구분하기그 사람은 선생님이에요. (선생님 → 받침 O)이건 사과예요. (사과 → 받침 X)제 친구는 배우예요. (배우 → 받침.. 2025. 3. 29. 가르치다 vs 가리키다 | 맞춤법 차이와 올바른 표현 ‘가르치다’와 ‘가리키다’는 혼동하기 쉬운 단어입니다. '길을 가르쳐 주세요(X)' vs. '길을 가리켜 주세요(O)' 올바른 맞춤법을 예문과 함께 확인하세요! 가르치다 vs. 가리키다 | 맞춤법 차이와 올바른 표현">‘가르치다’와 ‘가리키다’ 중 어떤 표현이 맞을까요?많은 사람들이 두 단어를 혼동하지만, 뜻이 다릅니다.❌ 잘못된 표현길을 가르쳐 주세요. (X)교사가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리킨다. (X)✅ 올바른 표현길을 가리켜 주세요. (O)교사가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친다. (O)‘가르치다’와 ‘가리키다’의 차이✔ ‘가르치다’ → 지식, 기술 등을 전수하는 행위✔ ‘가리키다’ → 방향이나 대상을 손가락이나 표시로 나타내는 행위예문 비교(X) 지도에서 서울을 가르쳐 주세요. (O) 지도에서 서울을 가리켜.. 2025. 3. 19. 맞추다 vs 맞히다 맞춤법 차이 | 예시로 쉽게 구별하기 (2025 최신) '맞추다'와 '맞히다'는 뜻과 쓰임이 다릅니다. 두 단어의 정확한 차이점과 올바른 맞춤법을 예시를 통해 명확히 알려드립니다.맞추다 vs. 맞히다 | 맞춤법 차이와 올바른 표현">'맞추다'와 '맞히다'의 차이를 확실히 알고 있나요?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는 이 두 표현을 정확한 맞춤법과 예문으로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맞추다’와 ‘맞히다’ 중 어떤 표현이 맞을까요?많은 사람들이 두 단어를 혼동하지만, 뜻이 다릅니다.❌ 잘못된 표현정답을 맞추다. (X)사격에서 과녁을 맞추다. (X)✅ 올바른 표현정답을 맞히다. (O)사격에서 과녁을 맞히다. (O)‘맞추다’와 ‘맞히다’의 차이✔ ‘맞추다’ → 서로 비교해서 같게 만드는 것 (조정, 조율)✔ ‘맞히다’ → 정답을 고르거나 목표에 도달하.. 2025. 3. 17. 이전 1 2 3 4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