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추다'와 '맞히다'는 뜻과 쓰임이 다릅니다. 두 단어의 정확한 차이점과 올바른 맞춤법을 예시를 통해 명확히 알려드립니다.
맞추다 vs. 맞히다 | 맞춤법 차이와 올바른 표현
'맞추다'와 '맞히다'의 차이를 확실히 알고 있나요?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는 이 두 표현을 정확한 맞춤법과 예문으로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맞추다’와 ‘맞히다’ 중 어떤 표현이 맞을까요?
많은 사람들이 두 단어를 혼동하지만, 뜻이 다릅니다.
❌ 잘못된 표현
정답을 맞추다. (X)
사격에서 과녁을 맞추다. (X)
✅ 올바른 표현
정답을 맞히다. (O)
사격에서 과녁을 맞히다. (O)
‘맞추다’와 ‘맞히다’의 차이
✔ ‘맞추다’ → 서로 비교해서 같게 만드는 것 (조정, 조율)
✔ ‘맞히다’ → 정답을 고르거나 목표에 도달하는 것
예문 비교
(X) 시험 문제를 맞추다.
(O) 시험 문제를 맞히다. (정답을 고르는 것)
(O) 시험 문제를 맞히다. (정답을 고르는 것)
(X) 퍼즐을 맞히다.
(O) 퍼즐을 맞추다. (조립해서 맞게 만드는 것)
(O) 퍼즐을 맞추다. (조립해서 맞게 만드는 것)
(X) 옷 색깔을 맞히다.
(O) 옷 색깔을 맞추다. (조화를 이루게 만드는 것)
(O) 옷 색깔을 맞추다. (조화를 이루게 만드는 것)
간단한 구별법
✔ ‘맞추다’ → 서로 비교해서 같게 만드는 것 (조정, 조율)
✔ ‘맞히다’ → 정답을 고르거나 목표에 도달하는 것
헷갈리는 맞춤법 더 알아보기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요 vs 에요 | 헷갈리는 맞춤법 1분 정리! (0) | 2025.03.29 |
---|---|
가르치다 vs 가리키다 | 맞춤법 차이와 올바른 표현 (0) | 2025.03.19 |
여태 vs 여지껏 | 헷갈리는 맞춤법 정리 (올바른 표현은?) (0) | 2025.03.15 |
올바른 vs. 옳바른 | 맞춤법 차이와 올바른 표현 (0) | 2025.03.13 |
띄어쓰기 검사기 추천 | 네이버·다음·부산대 비교 & 무료 맞춤법 교정 (0)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