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요"와 "에요", 둘 중 언제 어떤 걸 써야 할까요? 헷갈리는 두 표현의 정확한 구분법과 예문을 통해 맞춤법을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예요 vs 이에요, 언제 어떻게 쓰는 게 맞을까?
"학생예요"와 "학생이에요", 둘 중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많은 분들이 발음에 따라 섞어 쓰지만, '예요'와 '이에요'는 구체적인 구분 기준이 있는 맞춤법입니다.
✅ 기준은 앞 단어가 받침이 있느냐 없느냐
간단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받침이 있는 경우 → 이에요 (O)
- 받침이 없는 경우 → 예요 (O)
❌ 자주 틀리는 예
(X) 학생예요 → 학생이에요
(X) 이거이에요 → 이거예요
(X) 이거이에요 → 이거예요
예문으로 쉽게 구분하기
- 그 사람은 선생님이에요. (선생님 → 받침 O)
- 이건 사과예요. (사과 → 받침 X)
- 제 친구는 배우예요. (배우 → 받침 X)
- 그건 책상이에요. (책상 → 받침 O)
헷갈릴 땐 이렇게 기억하세요
받침이 있으면 이에요, 없으면 예요.
이 문장 하나만 외워도 대부분의 상황에서 맞춤법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더보기: 자주 틀리는 맞춤법
참고 자료
더 정확한 맞춤법 정보는 국립국어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르다 vs 들리다 | 의미와 쓰임 차이 완벽 정리! (0) | 2025.04.02 |
---|---|
가르치다 vs 가리키다 | 맞춤법 차이와 올바른 표현 (0) | 2025.03.19 |
맞추다 vs 맞히다 맞춤법 차이 | 예시로 쉽게 구별하기 (2025 최신) (0) | 2025.03.17 |
여태 vs 여지껏 | 헷갈리는 맞춤법 정리 (올바른 표현은?) (0) | 2025.03.15 |
올바른 vs. 옳바른 | 맞춤법 차이와 올바른 표현 (0)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