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4

헷갈리는 맞춤법 : 로서 로써 헷갈리는 맞춤법 로서 와 로써 중 무엇이 맞는 표현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로서 , ~로써 말로 자주 사용하게 되는데요. 로서가 맞는 것인지, 로써가 맞는 것인지 헷갈리고 무엇이 맞는 것인지 잘 모릅니다. 이번 기회에 로서, 로써 차이점을 배워보세요. 로서 로써">로서, 로써는 어느 한쪽이 맞고 틀린 게 아닙니다. 로서 : 자격, 신분, 지위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로써 : 수단, 방법, 도구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문맥, 상황에 맞게 표기를 다르게 해야 하는 것입니다. ex)그 일의 담당자로서 최선을 다했습니다.(O)그 일의 담당자로써 최선을 다했습니다.(X) 헤어지자고 했지만 눈물로서 그를 붙잡았습니다.(X) 헤어지자고 했지만 눈물로써 그를 붙잡았습니다.(O) 글 내용을 보고 로서가 맞는 것.. 2024. 10. 12.
건드리다 건들이다 헷갈리는 맞춤법 건드리다 건들이다 네이버 맞춤법을 보면 20-30% 정도는 올바른 맞춤법을 알지 못하더군요. 건드리다 건들이다는 예외가 없어서 한 번만 외우면 변수가 따로 없습니다. 건드리다가 맞습니다.   건드리다 건들이다">건드리다.(O)건들이다.(X)건드리지 않았다. (O)건들이지 않았다. (X)라는 표현은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건드리다(O)가 맞는 표현입니다. 준말인 '건들다'와 헷갈리는 것 같아요. '건들이다'라는 단어는 아예 없는 단어입니다.예외가 따로 없으니 그냥 편하게 건드리다 만 기억하고 외우면 돼요.   더보기 : 헷갈리는 맞춤법HTML 삽입미리보기할" data-og-host="great100.cheesesaladdy.com" data-og-source-url="https://great100... 2024. 10. 9.
데 대 헷갈리는 맞춤법 데 대 헷갈리는 맞춤법에 대해 정확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데 대는 쓰임이 다른 것이지 데만 맞고 대만 맞는 것이 아닙니다. 어떨 때 데를 쓰고 또 어느 경우에는 대를 사용하는 것인지 알아두시면 좋아요.데 대">-데 =  -더라데는 더라와 같은 의미입니다.데는 화자의 직접 경험한 사실을 후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입니다. -대 = -다고 해대는 다고 해와 같은 의미에요.대는 남이 말한 내용을 전달할 때 쓰는 말입니다.  ex)가물치가 그렇게 몸에 좋데(O) : 직접 경험가물치가 그렇게 몸에 좋대(O) : 들은 내용 전달 여의도 벚꽃 축제가 볼만하데(O) : 직접 경험여의도 벚꽃 축제가 볼만하대(O) : 들은 내용 전달  더보기 : 헷갈리는 맞춤법HTML 삽입미리보기할" data-og-host="great10.. 2024. 10. 4.
깨끗히 깨끗이 헷갈리는 맞춤법 ‘깨끗히’ vs ‘깨끗이’, 어떤 표현이 맞는 걸까요? 많이 쓰는 말이지만 맞춤법 앞에선 늘 헷갈리곤 하죠. ‘깨끗하다’에서 파생된 이 표현은 한글 맞춤법 규정을 통해 정확히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정답은 물론, 왜 그런지까지 쉽고 확실하게 알려드립니다. 깨끗히 깨끗이">한글 맞춤법 제 51항 규정에 따라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습니다. '히'로 나거나 '이'나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습니다.  우리가 발음을 어떻게 하는지를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한글 맞춤법 규정만으로 올바른 맞춤법을 구분할 수가 없습니다. 추가적으로 겹쳐 쓰인 명사 뒤에는 '-이'가 옵니다. 'ㅂ'불규칙 용언의 어간 뒤에도 '-이'로 표기합니다.ex. 가볍다> 가벼유니 ,덥다>.. 2024. 10. 1.

loading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