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60 대가 댓가 맞춤법 정답 대가 댓가. 말로 자주쓰는 표현인데요. 대가와 댓가는 발음으로는 구분할 수 없어 글로 적을 때 대가와 댓가 중 무엇이 올바른 맞춤법인지 헷갈립니다. 대가와 댓가의 예외 사항이 없어 대가와 댓가 중 어느 것이 올바른 맞춤법인지 배워봅시다. 대가 댓가">대가는 물건의 값으로 치르는 돈이라는 뜻입니다.한자어와 한자어가 만나는 합성어로 이 때에는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습니다.따라서 '대가'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대가(O)댓가(X) 예문)진열되어 있는 상품을 구매하고 대가를 지불하였습니다.(O)진열되어 있는 상품을 구매하고 댓가를 지불하였습니다.(X) 더보기 : 헷갈리는 맞춤법 되 돼 차이 . 몰라도되 돼 아주 쉽게!되 돼 맞춤법 차이를 아주 쉽게 예시를 들어가며 설명드립니다. 우리가 맞춤법을 사용할 때 말.. 2024. 11. 19. 밀어붙이다 밀어부치다 맞춤법 정답 밀어붙이다 밀어부치다. 어떤 일을 추진할 때 쓰이는 단어인데요. 밀어붙이다와 밀어부치다를 발음으로 구분할 수 없어 글로 적으려고 하면 무엇이 맞는 맞춤법인지 헷갈립니다. 밀어붙이다와 밀어부치다 둘 중에 어떤 표현이 맞는 맞춤법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밀어붙이다 밀어부치다">밀어붙이다 (O)밀어부치다 (X) 일이나 계획을 추진력 있게 해나가는 것을 밀어붙인다고 합니다. 예문)그는 권투 경기에서 상대 선수를 상대 코너로 밀어붙였다.(O)그는 권투 경기에서 상대 선수를 상대 코너로 밀어부쳤다.(X) 그는 반대에도 불구하고 계획했던 일을 계속해서 밀어붙였다.(O)그는 반대에도 불구하고 계획했던 일을 계속해서 밀어부쳤다.(X) '밀어부치다'는 '밀치다'의 사투리입니다. 올바른 맞춤법은 '밀어붙이다' 입니다. .. 2024. 11. 18. 엔간히 앵간히 맞춤법 정답 엔간히 앵간히 맞춤법. 대화할 때 엔간히 좀 해 앵간히 좀 해 이런 표현 쓸 때가 많은데요. 막상 적어보려니까 어떤 게 맞는 것인지 잘 모르겠네요. 이번 기회에 엔간히 앵간히 중 무엇이 맞는지 정확하게 알고 넘어갑시다. 엔간히 앵간히">엔간히 (O)앵간히 (X) 앵간히 앤간히는 틀린 표현입니다. '엔간하다'는 '대중으로 보아 정도가 표준에 꽤 가깝다'는 뜻입니다.'엔간하다'는 '어연간하다'의 준말입니다. 유의어는 '어지간하다'입니다. 더보기 : 헷갈리는 맞춤법 아니예요 아니에요 맞춤법 정답아니예요 아니에요 맞춤법 정답아니예요 아니에요 맞춤법은 대화를 할 때는 신경쓰지 않고 말해도 됩니다. 그러다가 막상 글로 쓸 때에는 아니예요 아니에요 중 무엇이 맞는 맞춤법인지 헷갈great100.cheesesal.. 2024. 11. 17. 이직률 이직율 맞춤법 정답 이직률 이직율 맞춤법. 이직률 이직율 맞춤법은 자주는 등장하지 않지만 일반적은 가벼운 얘기가 아닐텐데요. 글로 적는다던가 할 때 이직률과 이직율 중 어떤 것이 옳은 맞춤법인지 잘 모릅니다. 한 번 외워두면 평생 사용할 수 있으니 이직률과 이직율의 올바른 맞춤법을 알아봅시다. 이직률 이직율">받침이 있는 말 다음에는 '율'과 '률' 중에 '률'로 적습니다. 받침이 없거나 ㄴ받침, 모음 뒤에는 '율'로 적습니다. 이직률(O)이직율(X) 받침 구분으로만 률과 율을 사용하면 안됩니다. 예문) 점점 흡연율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입니다.(O)점점 흡연률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입니다.(X) 받침이 있지만 ㄴ받침 뒤에 오는 말이라 흡연율(O)이 맞습니다.이직률, 흡연율 같은 대표적인 단어 자체를 암기해 둡시다. 더.. 2024. 11. 16. 이전 1 2 3 4 5 6 7 8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