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62 헷갈리는 맞춤법 : 어따 대고 얻다 대고 헷갈리는 맞춤법 어따 대고 얻다 대고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립국어원의 공식트위터에서 어따 대고 와 얻다 대고 중 올바른 맞춤법에 대해 대한민국 국민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것으로 꼽았습니다. 국민 거의 모두가 올바로 알고 있지 않은 어따 대고와 얻다 대고에 대한 맞춤법을 익혀보겠습니다.어따 대고 얻다 대고"> 어따 대고(X)얻다 대고(O)'얻다'는 '어디에다'를 줄여쓴 표현입니다.얻다 : 반어적인 의문문입니다. 상대방이 적절하지 못한 말, 행동 하는 것을 시비하는 태도로 말할 때 사용합니다. 예문)어따 대고 반말이야?(X)얻다 대고 반말이야?(O) 어따 대고 지적하는거야?(X)얻다 대고 지적하는거야?(O) 더보기 : 헷갈리는 맞춤법"> HTML " data-og-host="great100.. 2024. 11. 6. 헷갈리는 맞춤법 : 일부러 일부로 ‘일부러’와 ‘일부로’ 중 어떤 표현이 맞는지 헷갈리셨다면? 일상 대화에서는 쉽게 쓰지만, 글로 적을 땐 막히기 쉬운 맞춤법! 예문과 함께 올바른 표현을 알아보세요.일부러 일부로">일부러 일부로 중 맞는 표현은 무엇일까요.일부러(O)일부로(X) 일부러는 '어떤 목적이나 생각을 가지고서' 또는 '알면서도 마음을 숨기고서' 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일부로는 일부러의 방언입니다. (예문)그는 그곳에 일부러 찾아갔었습니다.(O)그는 그곳에 일부로 찾아갔었습니다.(X) 더보기 : 헷갈리는 맞춤법HTML " data-og-host="great100.cheesesaladdy.com" data-og-source-url="https://great100.cheesesaladdy.com/entry/%ED%97%B7%E.. 2024. 11. 5. 헷갈리는 맞춤법 : 함부러 함부로 헷갈리는 맞춤법 중 함부러 함부로가 있습니다. 말로 할 때는 쉬운데요. 글을 적을 때에는 헷갈리는 맞춤법인 함부러 와 함부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함부러 함부로">함부러와 함부로 중 올바른 맞춤법은 무엇일까요. 대화를 할 때 말로하는 발음으로는 무엇이 맞는지 헷갈립니다. 정답은 함부로입니다.함부로(O)함부러(X) 함부로는 '조심하거나 깊이 생각하지 않고 마음내키는대로' 라는 뜻입니다.함부러는 함부로의 방언입니다. 더보기 : 헷갈리는 맞춤법HTML 삽입미리보기할" data-og-host="great100.cheesesaladdy.com" data-og-source-url="https://great100.cheesesaladdy.com/entry/%EC%95%88-%EC%95%8A-%EC%B0%A8%E.. 2024. 11. 4. 헷갈리는 맞춤법 : 개수 갯수 헷갈리는 맞춤법 중 개수가 맞는 것인지 갯수가 맞는 표현인지 언제나 고민이 됩니다. 이번 기회에 개수가 맞는지, 갯수가 맞는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개수 갯수">개수와 갯수의 올바른 맞춤법은 무엇일까요.발음으로 봤을 때에는 갯수가 맞을 것 같지만,올바른 맞춤법은 개수(O)입니다. 합성어로 볼 수 있는 두음절로 이루어진 한자어에는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 경우가 많은데요. 개수를 여기에 속하지 않아 사이시옷을 넣지 않습니다.개수(O)갯수(X) ex)개수를 세다(O)갯수를 세다(X) 더보기 : 헷갈리는 맞춤법HTML 삽입미리보기할" data-og-host="great100.cheesesaladdy.com" data-og-source-url="https://great100.cheesesaladdy.com.. 2024. 10. 16. 이전 1 ··· 5 6 7 8 9 10 11 ··· 16 다음